'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7건

몇 년 전이었나, 요즘처럼 무더운 여름날 작은 레스토랑에서 레드 와인을 주문한 적이 있다.

그런데 상온에서 보관하던 와인인지 온도가 너무 높게 느껴졌다. 온도를 좀 낮추고 싶어 아이스 버킷을 요청했더니 직원이 근엄한 표정으로 ‘손님, 레드 와인은 원래 상온에서 마시는 겁니다.’라고 알려주었다.

 

후텁지근한 날씨에 직원과 언쟁까지 벌이고 싶지는 않아서 ‘날 이 더워서 좀 시원하게 마시고 싶다’는 말로 결국 아이스 버킷을 얻어 내긴 했지만, 아이스 버킷에 얼음을 채워 온 직원의 썩소를 머금은 애매한 표정은 결국 그날의 와인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그 직원 말대로 레드와인은 꼭 상온, 그러니까 현재의 기온과 같은 온도로 마셔야 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섭씨 40도를 넘나드는 사막한가운데에선 체온보다 높은 미지근한 온도의 레드 와인을 마셔야 한다.

한겨울 알래스카의 이글루에서 와인을 즐기려면 아이스 버킷에 담가 놓은 화이트 와인보다 더 차가운 레드와인을 마셔야 정상이 된다.

그렇다면 레드 와인은 ‘상온’에서 마셔야 한다는 상식 자체가 이상한 것 아닐까?

 

사실 이런 것은 상온의 정의를 착각해서 생기는 오해다. 포털사이트에서 상온(常溫, ordinary temperature)을 검색해 보면 20±5°C정도의 온도를 뜻한다. 상온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실온(室溫, room temperature) 또한 인간이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온도로, 상온과 유사한 범위의 온도를 의미한다.

 

그러니까 ‘레드 와인은 상온에서 마시라’는 말은 ‘20°C 정도에서 마시라’는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지금 현재 당신이 있는 곳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마시라는 얘기가 아니다. 와인 전문가들마다 조금씩 견해가 다르긴 하지만, 레드 와인의 적정 음용온도는 대략 15°C에서 20°C 정도라는데에는의견이 모아지는 것 같다.

레드와인이 너무 차가우면 타닌의 떫은 느낌과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며, 향과 맛 또한 화사하게 피어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시큼한 맛이 강해지는데다 흐물흐물하게 퍼진 느낌이 들어 제맛을 느끼기 어렵다.

이런 점 때문에 타닌과 산미의 정도, 바디 등 스타일에 따라서 적정 음용 온도가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피노 누아(Pinot Noir)나 바르베라(Barbera) 등 산미는 높고 타닌이 적으며 미디엄 바디 정도의 가볍고 생기 있는 레드 와인은 15-16°C의 비교적 낮은 온도가 적당하다.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이나 메를로(Merlot), 말벡 (Malbec)등 미디엄 풀 바디 이상의 타닌이 많고 강건하며 묵직한 레드 와인은 보통 17-19°C 정도로 마셔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더운 여름날 셀러나 냉장고가 아닌 상온에서 보관한 와인의 온도는 어떨까? 당연히 현재 실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일 테지만, 그래도 검증을 위해 실제로 와인랙에서 보관하던 와인을 한 병 열어보았다. 실내 온도는 막 30°C를 넘어선 상황이었고, 와인을 오픈하기 직전에 희망 온도를 25°C로 맞추어 에어컨을 켰다.

마트에서 산 요리용 온도계로 잰 와인의 온도는 자그마치 29.1°C. 햇빛이 들지않는 그늘진 곳에 보관된 와인이었지만 실내온도와 별 차이가  없었다.

그대로 마신다면 와인의 제맛을 느끼지 못한 채 애꿎은 생산자와 판매자만 욕하게 될지도 모른다. 제대로 즐기려면 권장 음용온도인 17-19°C 까지 온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가장 빨리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얼음과 물을 넣은 아이스 버킷이다.

와인 전문가 마이클 슈스터(Michael Schuster)가 쓴 <와인 테이스팅의 이해>에 따르면, 아이스 버킷은 처음 20분 동안 매 2분마다 약 1°C의 온도를 낮춘다. 대략 20-24분 정도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스버킷이 없거나 나처럼 아이스 버킷 준비를 귀찮아하는 사람이라면 손쉽게 냉장고를 이용해도 된다.

냉동실에 와인을 넣으면 4-5분에 1°C 정도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50분 남짓이면 원하는 온도를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 선다.

그러나 깜빡하고 와인을 제때 꺼내는 것을 잊어버린다면 소중한 와인이 꽁꽁 얼어버 린다는 단점이 있으니 주의할 것.

 

냉동실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타이머 를 맞추는 것을 추천한다. 마지막으로 냉장실을 이용하면 속도는 좀 느리지만 안전하게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렇다면 냉장실에서 원하는 온도를 얻으려면 얼마나 걸릴까?

개인적으로는 조금 더 시원하게 즐기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16°C정도까지 온도를 낮춰보기로 했다.

위에서오픈한 와인을 3°C로 설정된 냉장실에 넣어 5분마다 변화하는 온도를 확인해 봤더니 아래와 같았다.

 

정밀하지 않은 가정용 온도계이고 온도 확인을 위해 5분마다 냉장고 문을 여닫았음을 감안해야 한다.

어쨌거나 대략 1시간 45분 만에 원하는 온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는 이번처럼 냉장고 문을 빈번하게 여닫지는 않을 테니 좀 더 빠른 칠링이 가능할 것이다.

대략 15분에 2°C 정도 온도를 낮출 수 있다고 보면 무리가 없을 것 같다. 저녁 식사에 곁들일 와인이라면 4시 반 쯤 냉장고에 넣어 놓으면 된다.

 

반대로 냉장고 에 보관하던 차가운 레드 와인의 온도를 적정 음용 온도로 올리려면 얼마나 걸릴까?

같은 와인을 잘 막아 냉장고에 넣었다가 5시간 후에 꺼냈을 때 와인의 온도는 6.4°C였다. 이후 25°C의 실내에서 5분 단위로 와인의 온도를 쟀는데 35분 만에 원하는 온도(16.4°C)를 얻을 수 있었다.

 

한 마디로 냉장 보관하던 레드 와인은 마시기 30분 전에 꺼내면 적당한 온도가 된다는 얘기다.

집안에 보관하던 레드 와인, 온도만 잘 맞춰도 맛이 달라진다. 한여름에 실온에 방치돼 있던 레드 와인이라면 더욱 그렇다. 냉장고를 이용하면 쉽게 온도를 맞출 수 있으니 적극적인 활용을 권한다.

 

부디, 레드 와인에게도 칠링을 허하라.

 

김윤석 기자

김윤석 와인전문기자는 2010년 객원기자 1기로 와인21에 합류했다. 2008년 WSET Advanced Certificate를 취득했으며, 2013년 서울국제주류 박람회 '한국와인시장리포트 세미나'에서 한국 와인 시장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와인을 둘러싼 사람과 문화, 제도 안에서 와인을 이해하려는 글을 쓴다. 가끔은 맥주, 위스키 등 다른 주류에 한눈을 팔기도 한다. 티스토리에 '개인척한고냥이의 와인 저장고'라는 캐주얼한 블로그를 운영 중이다.

,

가장 강력한12기통 스파이더

 

세계적인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가 새로운 12기통 하드톱 스파이더 모델 ‘812 GTS’를 국내 출시했다. 페라리 812 GTS는 페라리의 마지막 양산형 12기통 프론트 엔진 스파이더 모델인 365 GTS4 이후50년 만에 출시된 새로운 
라인업으로 브랜드 역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12기통 스파이더 라인업의 화려한 부활을 의미한다.

 


8,500 rpm에서800 마력를 뿜어내는 동급 최강의 엔진이 탑재


해당 모델은 812 슈퍼패스트의 사양과 성능을 모두 갖춘 스파이더 버전으로 특히 8,500 rpm에서
 800 마력를 뿜어내는 동급 최강의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은 812 슈퍼패스트와 마찬가지로 엔진 설계의 최적화, 350바 직분사 엔진 등의 혁신적 기술 도입, 자연흡기 방식의 F1 엔진 콘셉트의 가변형 
공기 흡입구(variable geometry inlet tracts) 제어 시스템 도입 등으로 가능했다. 이를 통해 배기량은 
6.2리터에서 6.5리터로 늘어나 저속 회전에서도 최고의 토크를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800 마력의 12기통 엔진이 장착되어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스파이더일 뿐만 아니라 페라리 고유의 
아이덴티티가 담겨 있어 높은 희소성을 보인다. 게다가, 세그먼트 내에서는 드문 접이식 하드톱(RHT) 적용으로 비교적 큰 트렁크 용량을 확보해 실용성까지 겸비했다.

 

단 14초 만에 열리는 접이식 하드톱(RHT), 0-100km/h  3초 미만


디자인 측면에서는 812 슈퍼패스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기존 12기통 프론트 엔진 모델의 디자인 언어와 비율을 적용하고 내/외부 공간과 승차감을 그대로 살려 스포티함과 우아함의 완벽한 조화를 이뤄냈다.
 여기에 45km/h 이하의 속도에서 단 14초 만에 열리는 접이식 하드톱(RHT)은 내부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하드톱 설치에도 쿠페 버전과 동일하게 여유 있는 운전석 공간을 제공한다. 전자식 리어 스크린은 오픈톱 주행에서 바람을 막아주는 동시에, 톱을 닫은 경우에서도 열 수 있어 자연흡기 12기통의 사운드트랙을 즐길 수 있다. 
그 결과, 812 GTS는 루프 개방 시에도 812 슈퍼패스트와 동일한 성능을 내뿜는 동시에 루프를 닫은 상황에서도 
최상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100km/h 도달까지 3초 미만, 200km/h까지 8.3초가 소요되며 최대 속도는
 812슈퍼패스트와 동일하게 340km/h를 기록하는 등 성능 역시 전반적으로 812슈퍼패스트 못지 않게 강력함을 보여준다.


7년 메인터넌스 프로그램 (7 YEARS MAINTENANCE)


페라리 812 GTS 에는 품질 기준과 고객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향상된 7년 메인터넌스 
프로그램(7Years Maintenance)이 적용된다. 모든 페라리 라인업 모델에 적용 가능한 이 프로그램은 차량 구매 후 
첫 7년간 정기적인 유지보수를 다루는 페라리만의 독자적인 고객 서비스다. 페라리 고객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인증 중고 프로그램을 통해 구입한 페라리에도 적용되는 고객 서비스이다. 메인터넌스 프로그램에 가장 기본으로 제공되는 정기 점검 (20,000km 마다 1회 또는 
마일리지 제한없이 연 1회 시행)은 마라넬로에 위치한 페라리 트레이닝 센터에서 직접 교육받은 전문 테크니션이 
오리지널 장비를 사용해 가장 현대적인 최신 진단 방법으로 진행된다. 가격은 5억1500만원(기본가)


에디터 김현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