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리튬광산 기업 필바라 미네랄스와 포스코리튬솔루션 합작 투자 계약 체결

- 수산화리튬 연간 4 3천 톤 생산 가능한 광양 공장, 2023년 하반기 준공 예정 … 100% 수입의존 리튬 국내 생산 탄력

- 필바라로부터 연간 31 5천 톤 리튬 광석 안정적 확보, 중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2030년까지 연 22만 톤 리튬 생산 체제 구축

 

포스코가 호주 리튬광산 기업인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와 공식 합작 투자 계약을 맺고 본격적인 수산화리튬 국내 생산을 준비한다.

필바라와 포스코는 지난 26, ‘포스코리튬솔루션'에 대한 합작 투자 계약 체결을 완료했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앞서 4월 포스코가 설립한 리튬 생산 법인으로, 이번 계약을 통해 필바라는 포스코리튬솔루션에 대해 최대 30%의 지분을 가질 수 있게 됐다.

또한 계약에 따라 포스코는 수산화리튬 추출에 필요한 리튬 광석을 필바라에서 연간 31 5천 톤씩 공급받게 되어, 안정적인 원료 확보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포스코는 2021 4 9일 이사회에서 투자승인을 받고 4 23 포스코리튬솔루션 이라는 사명으로 법인을 설립했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지난 5, 광양 율촌산업단지 내 196천㎡ 부지에 총 7,600억 원을 투자해 수산화리튬 공장을 착공했다.

이 공장은 연간 4 3천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 100만 대의 배터리에 사용되는 규모다. 공장 준공은 2023년 하반기를 목표로 한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포스코케미칼이 양극재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수산화리튬의 100%를 공급함으로써 그룹 내 안정적인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구축하는데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일찍이 2018년 필바라의 지분을 인수하고 리튬 관련 사업에서 협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포스코가 필바라와의 포스코리튬솔루션 합작투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며 그간 100% 수입에 의존하던 리튬의 국내 생산 준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차전지 양극재의 원료로 사용되는 리튬은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으로 나뉘는데, 포스코리튬솔루션의 생산 제품은 수산화리튬이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에 비해 배터리 용량과 수명을 늘리는데 유리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소재로 많이 쓰인다.

수산화리튬의 원료는 크게 물에 용해된 염수 형태의 리튬*과 광석 형태의 리튬으로 나뉘는데, 포스코리튬솔루션은 광석리튬을 활용한 공정을 채택했다. 광석형 리튬 생산 공정은 중간물 생성 없이 황산리튬에서 바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므로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경쟁력이 있다. *염수형 리튬 생산 공정은 리튬염수를 증발시켜 농축한 뒤 인산리튬, 탄산리튬 등을 중간물로 우선 생산하고, 수산화리튬으로 전환 생산함

한편, 포스코는 필바라 외에도 글로벌 기업들과의 합작으로 이차전지소재 사업을 활발히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하고 지난달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을 착공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향후 광석 및 염수 리튬 추출 사업에 중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2만 톤의 리튬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포스코리튬솔루션 사업 추진 경과

2021 4 9일 리튬사업 투자 승인

4 23일 포스코리튬솔루션 법인설립

5 6일 전남도 투자협약 체결

5 14일 부지매입(율촌산단)

5 26일 연산 4 3천톤 광양 공장 착공

10 26일 필바라와 합작 투자 계약 체결

 

5 26일 포스코리튬솔루션 광양공장 착공식에서 시삽을 하고있다(왼쪽부터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사장, 포스코 정창화 신성장부문장, 포스코건설 김민철 플랜트사업본부장, LG에너지솔루션 김명환 사장, 포스코 최정우 회장, 전남도지사 김영록, 국회의원 서동용,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 김갑섭, 광양부시장 김경호 , RIST 유성 원장)

필바라 미네랄스의 리튬 광산

,

현대모비스, 능수동 안전부품 시너지로 자율주행 시대 먹거리 선점한다.

 

현대모비스 슬레드 테스트

현대모비스가 능수동 안전 부품간 시너지로 자율주행 시대의 미래 먹거리 선점에 힘을 쏟고 있다. 

안전장치는 보통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능동형 안전장치와 사고 발생 승객을 보호하는 수동형 안전장치로 나뉜다. 차선이탈방지장치(LKA) 긴급자동제동장치(FCA) 등과 같이 운전자가 잠시 한눈을 팔아도 안정적인 운전을 돕는 첨단 운전자 지원 기술들을 능동형 안전장치라고 있다. 에어백이나 좌석 벨트와 같은 전통적인 안전장치들은 수동형 안전장치로 분류된다. 

능동형 안전기술 개발은 자율주행기술 고도화와 맥을 함께 하고 있는 만큼 미래차 안전기술 개발의 핵심은수동형 안전부품을 능동형 안전기술과 연계해 어떻게 스마트하게 진화시킬 것인가 집중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전에 없던 새로운 안전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물론, 능수동 안전부품을 모두 개발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형을 융합해 시너지 효과를 꾀하고 있다. 

 

수동형 안전부품, 능동형 안전기술, 스마트하게 진화시키는

 

현대모비스 루프에어백

현대모비스는 가장 전통적인 수동형 안전부품 에어백을 2002년부터 양산하기 시작해 현재는 운전석, 동승석, 무릎, 사이드, 커튼 차량 주요 에어백을 모두 개발 생산하고 있다. 특히 에어백 쿠션은 물론, 에어백 제어기, 충돌센서 에어백의 주요 구성품들을 모두 자체 개발, 생산하고 있다. 에어백 제어기(ACU, Airbag Control Unit) 차량 충돌 충돌 세기와 종류, 승객 유형 등을 파악해 전개 세기와 타이밍 등을 제어하는 에어백의 핵심부품이다. 

현대모비스는 이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동시에 확보하고, 에어백을 최적화 개발하는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런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난 2017 세계 최초로 루프 에어백 기술을 개발해 현재는 양산 단계에 이르렀다. 루프에어백은 차량 전복사고가 발생했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개돼 0.08 만에 루프면 전체를 덮어 승객 이탈을 막아준다. 현대모비스가 루프에어백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선루프 이탈로 인한 사고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15년간 차량 전복 사고 1 3,700 가운데, 차량 바깥으로 승객이 이탈한 경우는 2400여건, 10% 선루프를 통해 승객이 이탈한 사고였다. 

현대모비스는 에어백과 함께 대표적인 수동형 안전부품으로 분류되는 좌석벨트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 해나가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3 국내 부품업체로는 최초로 액티브 시트벨트(ASB)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장치는 급정거나 급회전 차량의 급격한 움직임에 대응해 구동모터가 벨트를 당겨 승객을 좌석에 밀착시킨다. 이로써 안정감을 더하고, 혹시나 발생할 사고로 인한 상해 가능성도 대폭 줄여준다. 

 

<승객보호장치 통합제어기> 개발 성공

 

현대모비스는 여기서 나아가 지난해 현대자동차와 함께 <승객보호장치 통합제어기> 개발에 성공했다. 액티브 시트벨트와 에어백의 제어기를 하나로 통합하고, 이를 자율주행 차량 센서 정보를 활용해 자동 제어하는 장치로 내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통합제어기는 센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상황에 맞춰 승객을 실시간 보호한다. 진화를 거듭해 현재도 뛰어난 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각각의 안전장치를 하나로 묶고, 여기에 첨단 센서 정보를 더해 승객 안전을 위한 장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것이다.

통합제어기는 외부 카메라 레이더 센서로 노면의 장애물이나 갑자기 멈춰진 차량 위험 상황을 확인하면, 먼저 전동식 좌석벨트의 진동을 통해 승객에게 경고를 준다.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긴급자동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제동하고, 동시에 전동식 좌석벨트를 조정해 승객을 좌석과 밀착시킨다. 

현대모비스가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임에도 이와 같은 첨단 안전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있었던 것은 종합부품사로서 센서나 첨단 운전자 지원 기술은 물론, 에어백, 전동식 좌석벨트 관련 기술들을 모두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현대모비스, 미래차 부품 개발 선도해나간다평가

 

미래자동차 시대로 갈수록 핵심부품들을 융합한 스마트한 기능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인데, 관련 기술들을 모두 내재화 하고 있으면 개발에 더욱 속도를 있다. 핵심부품 기술들을 차례로 개발해 현대모비스가 미래차 부품 개발을 선도해나갈 있을 것이라고 평가받는 이유다. 

실제로 현대모비스는 미래차 시대에 맞춰 주요 핵심부품들을 진화시키는 속속 성공하고 있다. 지난 2018 상시 상향등 상태에서도 앞차에 대한 시야 방해 없이 안전하게 시야를 자동 확보하는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정상적인 조향상태를 유지해 운전자 안전을 보장하는 듀얼 전동식 조향장치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미리 반영해 자동으로 차체 높이를 조절하는 프리뷰 에어서스펜션 기술도 선보인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처럼 차별화된 안전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안전기술 영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